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간호학/인체 구조와 기능5

이자, 인슐린과 당뇨병(췌장의 기능, 혈당 조절 기전) 이자(췌장)의 내분비 부분은 이자의 외분비 부분에 흩어져 존재하는 이자섬(췌도)이 담당하고 있다. 이자섬은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여 혈중 포도당의 농도를 조절한다. 이자섬의 알파세포는 글루카곤을 분비하고, 베타세포는 인슐린을 분비한다. 혈당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신경계통의 주 에너지 원이 포도당이기 때문에 낮은 혈당은 신경계통의 기능상실을 유도한다. 혈당이 감소하면, 지방과 단백질을 분해하여 대체 에너지원으로 제공한다. 지방에 분해되면, 간은 지방산을 케톤으로 전환하여 혈액으로 분비한다. 혈당이 너무 낮으면, 지방의 분해산물인 지방산과 케톤이 증가하면서 체액의 pH가 정상보다 감소하는 산증이 유도된다. 단백질은 간에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포도당을 합성하는 데 사용된다. 만약 .. 2022. 12. 12.
심장을 통한 혈액의 흐름(심장 혈류 순환 순서) 심장을 통한 혈액의 흐름은 위 그림에 묘사되어 있다. 그림에서는 마치 혈액이 오른쪽 심장에서 왼쪽 심장으로 흐르는 것처럼 묘사되어 있다. 하지만 두 심방이 동시에 수축하고 난 뒤에, 두 심실이 동시에 수축한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신 순환을 거친 혈액은 위대정맥과 아래대정맥을 거쳐 오른심방으로 들어가고 심장근육의 혈액은 심장정맥굴을 거쳐 오른심방으로 들어간다. 오른심방으로 유입된 혈액의 대부분은 오른심실이 이완할 때 오른심실로 들어간다. 심실의 이완이 완료되기 바로 전에 오른심방이 수축하여 오른심방 속의 혈액을 오른심실로 이동시키면서 오른심실의 혈액충만이 완료된다. 오른심방 수축 이후에 오른심실의 수축이 시작하며, 오른심실의 수축력에 의해 삼첨판막이 닫힌다. 오른심실 속의 압력이 증가.. 2022. 12. 11.
혈액형과 수혈 수술이나 손상에 의해 많은 양의 혈액을 손실하였을 때 혈액의 산소 운반능력이 있는 적혈구가 보충되지 않는다면 환자는 쇼크에 빠지거나 사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 수혈이나 수액 주입을 실시한다. 수혈은 혈액 혹은 혈액 구성요소를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에게 옮기는 것이다. 수액 주입은 혈액 외에 식염수 혹은 포도당액과 같은 액체를 혈관으로 넣는 것이다. 많은 경우, 혈액의 양을 정상으로 회복시켜야 쇼크를 예방할 수 있다. 결국, 우리 몸은 손실에 대처할 충분한 적혈구를 생산한다. 초창기 시도되었던 수혈은 혈구 세포의 군집 혹은 파열, 혈관 내에서 응고와 같은 수혈 반응 때문에 종종 실패하였다. 현재는 수혈 반응은 항원과 항체 사이의 반응이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간단히 말하.. 2022. 12. 9.
인체의 뼈 개수, 뼈의 구조와 기능 이번시간에는 인체 뼈의 명칭과 뼈의 개수 또 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한다 사람은 성인이 되면 머리뼈(두개골) 22개, 귀의 귓속뼈(이소골)6개, 목뿔뼈(설골) 1개 척주(척추뼈) 26개 가슴우리(흉곽) 24개, 팔뼈와 팔이음뼈(상지골), 다리뼈와 다리 이음뼈(하지골) 62개 총 206개의 뼈를 갖게된다. 뼈의 구조와 기능 골격은 다른 신체 조직을 지지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 중요한 기관과 연조직을 보호하며, 뼈에 부착되어 있는 근육을 움직이는 지렛대 역할은 한다. 뼈는 또한 혈구 세포를 생산하고, 칼슘과 인을 저장한다. 뼈는 형성과 조직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1) 뼈의 형태와 부위 뼈는 모양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한다. 장골(long bone)은 사지를 이루는 중요한 뼈로, 골.. 2022. 12. 3.
시험에 잘 나오는 의학용어(신체의 면, 방향, 자세, 운동) 공통적으로 쓰이는 의학용어들을 정리해봤다 용어 의미 신체의 면에 관한 용어 coronal or frontal plane (관상단면, 전두단면) 신체를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누는 절단면 sagittal plane (시상단면) 신체를 오른쪽과 왼쪽이 대칭이 되도록 나누는 절단면 transverse plane(가로단면) 신체를 위와 아래로 나누는 절단면 신체의 방향에 관한 용어 anterior (A ; 앞쪽, 배쪽) 신체의 앞 posterior (P ; 뒤쪽, 등쪽) 신체의 뒤 anterior-posterior (AP) 앞에서 뒤로 일반적으로 X-ray 방향과 관련하여 사용 posterior- anterior (PA) 뒤에서 앞으로 superior (위쪽, 머리쪽) 일정한 구조 위에 위치한 머리를 향한 쪽 i.. 2022. 11. 24.
반응형